1. 서론
소프트웨어 역량을 높이려는 현대자동차에 있어서, 모빌리티서비스 전략을 생각해 봤습니다. 모빌리티서비스는 다양한 것들을 해볼 수 있기 때문에 다방면의 자료조사가 중요합니다. 여러 자료를 기반으로 전략을 도출하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모델링 방법으로 사용했습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은,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항목(사회/문화, 기술, 서비스, 벤치마크 등)에 대한 자료를 조사합니다. 그리고 공통점을 띄는 자료들을 한 그룹으로 묶고, 그 그룹안에서 인사이트를 뽑아냅니다. 1차 그룹들 중에서도 공통점이 있는 것들은 2차 그룹(그룹의 그룹)을 만듭니다. 이렇게 공통점이 있는 자료들을 그룹하여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방법론 입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더 알아보기 ▼
[모델링]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의 장점 공통점이 있는 자료들을 그룹하고 그 안에서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방법론 입니다. 서비스의 적용/활용 범위가 넓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인사이트가
haevol.tistory.com
2. 본론
이제 본론으로 들어와, 전략도출까지의 과정들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다방면으로 데스크리서치를 하고 현대모터스튜디오로 필드리서치도 다녀왔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다양한 자료들에 공통점을 찾아 여러 그룹을 만들고 각 그룹마다 인사이트를 찾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사용했습니다.
데스크리서치
데스크리서치를 통해 배경지식을 높이고, 인사이트를 찾기 위한 재료를 많이 확보해 둡니다. "전략"이 "요리"라면 "다양한 정보"는 "재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재료가 풍부한 만큼 훌륭한 전략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Fact to Think/Insght 방식으로 데스크리서치한 내용을 표에 정리합니다.(주요 몇 개만 추렸습니다.)
no
|
항목
|
구분
|
Fact
|
Think/Insight
|
d5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관광
|
현대자동차와 서울관광재단은 각자 관광과 자동차 산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서울과 수도권을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교류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금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많은 관광약자들이 자유로운 여행을 즐길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며, "앞으로도 진정성을 가지고 꾸준히 관광약자의 이동권 향상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순방향, 역방향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멀미 심한 정도는 어떤지, 다리가 불편한지 등 마이페이지에 미리 등록
차량 예약 시 해당 정보에 맞는 PBV로 예약
|
d14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현대 셀렉션
|
현대 셀렉션과 렌터카 차이점
- 원하는 차종을 추가비용 없이 월 2회까지 교체
- 차량 유지와 관리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월 단위 이용 요금에 포함
- 정비를 완료한 차량을 제공해 자동차 관리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
셀렉션 구독하는 사용자끼리 차량을 맞교환하면 물류비/관리비를 줄일 수 있어 구독비용을 낮출 수 있을듯
|
d20
|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
감성
|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삶의 공간’으로 변화함에 따라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에 따라 자동차 실내를 아늑한 생활 공간처럼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내공간은 ‘스케이트보드(Skateboard)’라고 불리는 바닥을 평평하게 만든 공간 안에 거실에 가구를 놓은 듯한 느낌으로 디자인됐으며 카페트를 사용해 소음을 최소화했다
|
|
d22
|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
감성
|
‘H-Space’는 빅데이터로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해 빛을 이용한 테라피를 제공
|
|
d32
|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
운영체제
|
테슬라는 연말에 FSD를 통해 구독경제를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테슬라 네트워크 등의 여러가지 형태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로의 간단한 확장을 의미한다. 그 말인 즉슨, 테슬라가 현재 팔아 놓은 모든 차량을 토대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OS를 모든 차에 넣어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슬라코리아가 구독형(subscription) 서비스인 '프리미엄 커넥티비티'를 지난 31일부터 국내에서 시작했다. 이동통신사의 인터넷망을 이용해 실시간 교통정보가 반영된 위성지도와 음악·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미국 등 해외에선 작년 말부터 순차적으로 시작했다
|
- 현대차 자체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현대차간에는 어떤 소통을 할 수 있음(예. 먼저 가시오, 미안합니다 등 감정표현 앱을 차량OS에 설치(이모티콘 판매 등) 구독 서비스에 포함)
- 쇼핑 후 드라이브 쓰루 픽업은 배송이 필요 없으니 충분히 해볼만한 비즈니스. 쇼핑몰과 서로 윈윈
- 구독을 하면 HUD로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 자동차 하면 음악을 빼놓을 수 없는데...
|
d34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결제
|
차 안에서 실물카드 없이도 주요소,주차 요금 결제.
현대차그룹은 조만간 에쓰오일, GS칼텍스와 추가로 계약을 체결키로 했고 향후 국내에서 패스트푸드, 커피숍 등 드라이브 스루(DT) 매장을 중심으로 카페이 가맹점을 확대할 방침.
주차장에서 출차를 위해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주차요금 결제를 알리는 팝업창이 네비게이션에 표시되고, 터치를 하면 곧바로 결제된다.
향후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없는 자율주행차 출시가 본격화 되면 시너지를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타인과 접촉 없이 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판매자는 제품을 사물함에 넣어놓고 드라이브 스루 시 해당 사물함에서 픽업
|
d35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감성
|
소비자 조사 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가 최근 약 4,500명의 운전자에게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운전 대신 하고 싶은 활동에 대해서 조사했다. 총 18개의 선택지(활동) 중에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것은 주변 경치 감상(47%)이었고, 동승자와의 대화(41%), 수면(37%), 동영상 시청(32%), 간단한 취식(29%)이 그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인터넷 검색, 업무, 학업, 게임, 채팅 등 다양한 수요가 있었다.
|
사용자 정보에 평소 선호하는 배경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 주행 중에 유사한 풍경을 만나면 자동으로 촬영하고 어울리는 BGM까지 넣어서 동영상 자동 생성. 음악을 더 다양하게 하고 싶으면 결제 등
|
d40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데이터
|
현대자동차그룹의 오픈 플랫폼은 차량으로부터 수집한 누적 주행 거리, 잔여 주유량, 운전 습관 등의 운행 데이터를 외부에서 활용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가공하여 파트너사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데이터 공유의 목적은 고객 가치 제고를 위함이며,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에 한해 파트너사로 데이터가 공유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운전습관 연계 자동차보험'으로 운전습관을 분석하여 커넥티드 카 이용자에게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오픈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고객의 보험 가입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급출발, 급가속, 급감속, 운행 시간대 등 운전자의 운전습관 데이터와 현대해상의 사고 데이터를 결합하여 양 사가 안전운전 점수 모델을 만들었고, 산출된 점수가 70점 이상인 고객은 안전운전을 하고 있다는 판단하에 보험료를 5% 할인해 주고 있습니다.
|
주행습관 및 차량정보를 이커머스업체에 제공
차량정보 분석해 차량 소모품 추천 / 카 인테리어 제품 추천 / 졸음이 많은 운전자에게 졸음방지껌 추천 등
이런 제휴 서비스들 때문에 현대기아차를 선택할 이유가 되었다면 대박
|
d42
|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
우선 차에 반려동물과 동승할 경우 안전과 차내 청결을 위해서 “카시트”를 알아보는 분들이 가장 많습니다. 이동 시 반려동물의 편안한 승차를 위한 카시트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는데요. 카시트, 시트커버, 강아지 가방을 의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아이디어 상품까지 편리한 이동을 위한 상품들이 많이 검색되고 있습니다. 연관어로 “소리”도 상위 순위에 올랐습니다. 강아지 등 반려동물은 소리와 진동에 민감합니다. 사람에 비해 감각이 수십 배 뛰어나기 때문이죠.
|
커머스랑 연관된 모빌리티서비스가 좋을 듯
|
d43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현대 쇼룸라이브
|
쇼룸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제품설명, 구매상담 제공 서비스(해외지역 대상)
사용자가 화상 상담을 신청하면 딜러가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보여주며 상담 진행
|
|
d44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주차
|
파킹프렌즈는 자체 개발한 IoT 센서를 통해 실시간 빈자리 확인과 예약 가능한 차량 수를 제공하는데요. 주차를 원하는 요일과 시간을 미리 선택할 수 있는 주차 예약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 CCTV를 통해 주차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를 제휴하여 주차서비스와 연계해도 좋을 듯
|
d46
|
문화
|
기타
|
차량 공유 서비스의 활성화로, 향후 차를 사는 것은 사치품을 사는 것과 같음
|
자동차의 단순 스펙 뿐만 아니라, 스토리까지 고객들에게 전달 필요
|
d51
|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
음성인식
|
음악이 있고, 대화가 있는 차 안에서 음석인식을 잘 인식하는 기술 검토가 필요하다
|
앞 유리를 통해 주행자의 입모양 분석하여 음성인식 정확도를 높이자. 아니면 소형 마이크를 차는 것도 방법
|
d52
|
벤치마크
|
당근마켓
|
동네 커뮤니티 서비스가 핵심
|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면 향후 hub건립에서 지역사회 지지를 얻을 수도 있음
|
필드 리서치
관련된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보거나, 장소를 방문해 보거나,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해보면 데스크리서치에서는 얻을 수 없는 특별한 인사이트를 분명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고양 현대모터스튜디오를 방문했고, 현대자동차 사용자와 인터뷰를 했습니다.(주요 몇 개만 추렸습니다.)
no
|
필드 리서치 종류
|
항목
|
Fact
|
Think/Insight
|
f3
|
고양 현대 모터스튜디오
|
기타
|
방향제가 인상 깊었고, 특히 레이싱 제품은 사고 싶게 만들었다. 브랜드 스토리를 경험할 수 있어 좋았다 레이싱 신발도 사고 싶었다. 우산도 좋았고, 필기구도 괜찮아 보였다. 아기랑 강아지 관련 용품도 좋아 보였다. 자동차 모형은 아이들이 좋아할 법 했다.
|
레이싱카 같은 건 어떨까 레이싱 관련 제품 으로 더 디벨롭 하면 좋을 것 같다
|
f5
|
고양 현대 모터스튜디오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현재 빌트인캠은 앞뒤만 있음
|
촬영해줘! 하면 서라운드로 촬영하고, 그에 맞는 음악도 알아서 추천하고 서버에서 언제든 다운 가능
|
f14
|
사용자 인터뷰
|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
"블루링크앱,마이현대앱,디지털키앱,현대카페이 모든 어플이 마이현대앱으로 통합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아니면 블루링크, 디지털키, 카페이 앱 세개라도 하나로 통합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 같습니다"
|
통합앱을 만들고, 시너지가 나는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 앱은 그 안으로 통합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위 데스크리서치와 필드리서치 자료를 그룹 및 재그룹하여 인사이트를 뽑았습니다. 데스크리서치 자료는 d20 과 같이 인덱스 하였으며, 필드리서치 자료는 f3와 같이 인덱스 하였습니다. 그렇게 도출된 인사이트는 i1과 같이 인덱스 하였습니다.
3. 결론
인사이트 기반으로 전략 도출
기대효과 : 현대자동차를 소유하고 싶게 만듬
S1) (관련 인사이트 i1 x i2) 와치용 모빌리티 앱을 통해 운전자의 심리/건강상태를 체크합니다. 운전자의 심박수가 높아지면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색이 차량 내부에 은은하게 빛납니다. 와치에서 음성으로 빛 색과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성을 높입니다.
S2) (관련 인사이트 i8) 모빌리티 앱에서 라이브쇼룸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판매직원은 사용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차량의 스펙 및 차량 내부 구석 구석을 화면을 통해 소개합니다. 현대셀렉션을 이용하는 이유 비중 절반이 차량을 구매하기 전에 경험해 보고 싶다는 것인데, 이들의 니즈를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충족시킵니다. 또한 차량에 대한 디자인 및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알려주는 등 브랜드 경험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차량을 더욱 소유하고 싶게 만듭니다. 또한 차량과 연관된 다양한 상품(레이싱복, 레이싱 신발, 우산 등) 도 판매합니다.
기대효과 : 제휴를 통한 모빌리티 서비스 매출 발생
S3) (관련 인사이트 i2 x i4) 온라인 마트몰과 제휴하여, 차량 내 모빌리티 앱을 통해 음성으로 쇼핑합니다. 픽업은 마트로 가서 드라이브 쓰루로 합니다.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차량정보를 마트몰에 공유하여 차량 부속품 및 졸음껌 등을 차량 내 앱을 통해 음성으로 추천하여 구매를 유도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매출에 대해 수수료 이익을 챙깁니다.
S4) (관련 인사이트 i4 x i5) 마트 직원은 드라이브 쓰루 전용 사물함에 상품을 미리 보관합니다. 차량이 사물함에 도착했을 때 사물함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개인화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 수익을 챙깁니다.
S5) (관련 인사이트 i6) 각종 모빌리티 업체와 제휴를 맺어, 모빌리티 앱에서 결제 한번으로 지하철, 버스, 택시 그리고 전동킥보드까지 여러 모빌리티를 사용 가능하게 합니다. 매출 중 일부를 수익으로 챙깁니다.
기대효과 : 제휴 없이 독자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로 매출 발생
S6) (관련 인사이트 i3) 모빌리티 앱에서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반려동물과 함께 타는 PBV, 캠핑 전용 PBV 등) PBV를 예약한 사용자들에게 목적지를 추천해 줍니다.(반려동물과 함께 놀기 좋은 곳, 캠핑하기 좋은 곳 등).
PBV 종류
|
차량 특수 기능
|
반려동물과 함께 타는 PBV
|
- 반려동물 전용 카시트 및 안전벨트 제공
- 반려동물 공간에는 소음 초소화
|
캠핑용 PBV
|
- 차량 안에서 캠핑 안전영상 제공
- 폭우, 화재 등 각종 감지 센서가 차량에 있어 위험 시 경보 발생
- 벌레 퇴치용 전자파를 차량에서 출력
|
S7) (관련 인사이트 i7) 모빌리티 앱 안에서 셀레션 사용자들 간에 차량을 맞교환 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현대차는 물류비/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어 현대셀력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는 각 사용자의 신뢰점수, 셀렉션 이용기간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뢰도를 서로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커뮤니티 안에서 지역기반 광고(정비, 세차업체) 를 통해 부가수익도 창출 가능합니다. 주기적인 설문을 통해 인기있는 차종을 분석해 셀력션 차량 가동률을 높이고 잔가 리스크를 낮출 수 있습니다.
S8) (관련 인사이트 i7) 셀렉션에 사용된 차량을 모빌리티 앱 안에서 현대차가 중고차로 판매합니다. 차량 사용기간, 사고 유무 등을 현대차가 투명하게 제공하여 사용자를 안심 시킬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인스타그램 haevoler 팔로잉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
'기획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 불스 아이(Bull’s Eye) (0) | 2022.02.04 |
---|---|
[필드리서치]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0) | 2022.02.04 |
[모델링]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0) | 2022.02.04 |
[모델링] 여정지도(journey map) (0) | 2022.02.03 |
[전략] How Might We questions (HMW) (0) | 2020.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