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아이디어가 1등이 될 것인가
라무는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찾는 회사 워크샵에 참석했다. 새로운 아이디어 중에 1등으로 선정된 팀에게는 포상이 있었다. 그 곳에는 영업부서 사람들끼리 모인 그룹들과 기획부서 사람들끼리 모인 그룹들이 있었다. 영업부서 사람들은 자신들이 서비스를 운영하고 영업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영업부서에서 일하는 비비가 말했다. "기획자들이 무슨 아이디어가 있겠어? 최전선에서 일하고 있는 영업그룹에서 1등 아이디어가 나올꺼야"
자기 주변 영업 부서 사람들에게 하는 말이었지만 누구나 들리게 큰 소리로 말했다. 라무는 속으로 생각했다. "아이디어하면 기획자가 최고라는 것을 증명해 보이겠어."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라무가 속한 기획자그룹은 서로 아이디어를 몇 가지 말했지만 다들 좋은 반응은 없었다. 그리고 아이디어가 고갈되었는지 다들 말이 없었다. 라무는 초조해 하며 생각했다. "영업부서에게 1등 아이디어를 뺏긴다면, 우리 기획자들의 존재가치마저 의심받게 된다. 무조건 1등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자!" 그리고 비비가 속한 그룹을 슬쩍 봤는데, 뭔가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는지 다들 신나게 토론하며 발표문서를 작성하고 있었다. 비비와 눈이 마주쳤다. 비비는 미소를 띄었다. 이 와중에 라무는 살짝 설레었다. 비비가 이쁘긴 했다.
라무는 얼마전 길에서 주운 기획수첩을 열어봤다. 거기에는 여러가지 기획 방법론들이 적혀 있었다. 라무는 글들을 쭉 보다가 HMW 방법론이 이 상황에서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방법론을 그룹원들에게 설명했다.
다양한 인풋과 아웃풋으로 아이디어가 샘솟는 HMW 방법론
라무는 그룹원들에게 말했다. "우리가 지금 생각이 막히는 이유는 생각의 인풋이 다양하지 않아서 일지도 모릅니다. 다양한 인풋이 있어야 다양한 아웃풋, 즉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다양한 인풋을 주입해 주는 게 HMW 방법론 입니다."
"HMW 방법론은, 어떻게 하면 우리가 OO할 수 있을까? 는 식의 꼬리의 꼬리를 무는 질문을 계속해서 다양한 인풋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질문에 답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상의 전환 용도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특히 이전 아이디어에서 막혔던 challenges를 오히려 opportunities로 바꾸는 사고의 전환이 가능합니다." 라무네 그룹 사람들은 서로 돌아가며 질문을 던져보고 답을 해보며 자유롭게 브레인스토밍 했다. 그리고 드디어 아주 괜찮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되었다.
바사더의 HMW 질문법은 경쟁 제품을 뛰어넘기 위한 ‘Can’의 질문이 아니라 긍정적 가능성을 열어주고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Might’의 질문이었던 것이다. ‘Can’이나 ‘Should’로 시작되는 질문은 “진짜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 즉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들도록 한다. 반면 ‘Might’는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들에게 보다 자유롭게 가능한 옵션을 떠올리도록 돕는다고 한다. 또한 ‘We’라는 말은 혼자가 아니라 참여자들이 함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출처 :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8501
HMW 방법론 사용방법
1. "어떻게 하면 우리가 ... 할 수 있을까~?" 라는 식의 열린 질문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한다. 질문은 구체적이고 니즈를 포함하면 좋다.
good question
|
bad question
|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주차장까지 자발적으로 주행하게 할 수 있을까? (구체적)
|
어떻게 하면 전동킥보드 주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추상적)
|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주행 중에 주차장이 어디에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게 해줄까?(주차장 위치가 바로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니즈를 포함)
|
어떻게 하면 주행 중에 주차장이 어디에 있는지 찾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페인포인트에서 출발)
|
어떻게 하면 좀 더 상쾌한 비누를 만들 수 있을까? (상쾌한 것을 원한다는 니즈를 포함)
|
어떻게 하면 고객들이 사용하는 비누의 느끼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까?(페인포인트에서 출발)
|
어떻게 하면 고객들이 시내 투어를 하면서 현지 이문화를 더 잘 체험하게 할 수 있을까? (현지 문화를 체험하고 싶다는 니즈를 포함)
|
어떻게 하면 고객들이 즐겁게 여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추상적)
|
2. 질문에 대한 답을 각자 포스트잇에 적는다.
3. 작성을 모두 마치면, 질문 별로 전체 포스트잇을 모아서 함께 이야기 한다.
IDEO의 HMW 방법론 소개 영상
기획자는 필요하다
1등 아이디어는 라무네 그룹에서 나왔다. 비비의 아이디어는 아쉽게 3등에 그쳤다. 2등 아이디어는 다른 기획자 그룹에서 나왔다. 바로 라무가 혼자 라이벌로 생각하는 거스가 속해 있는 그룹이었다. 거스네 그룹은 어떻게 아이디어를 도출했는지 라무는 궁금했다. "언젠가 거스랑 같이 일해보는 날이 오겠지?" 라무는 가슴이 두근거렸다. 비비는 3등을 해서 아쉬웠는지 표정이 어둡고 말 수도 적어진 게 느껴졌다. 기획자는 꼭 필요한 역할이라는 것을 비비가 느꼈으면 좋겠다고 라무는 생각했다.
'기획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드리서치]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0) | 2022.02.04 |
---|---|
현대자동차 모빌리티서비스 전략제안(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0) | 2022.02.04 |
[모델링]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0) | 2022.02.04 |
[모델링] 여정지도(journey map) (0) | 2022.02.03 |
전동킥보드 주차문제 해결 전략제안 (여정지도 X HMW 방법론) (0) | 2020.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