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코로나 시국에 영화관 피해가 매우 큰 상황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하면서 매출은 급감하고 있는데 임차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은 계속되고 있어서다. 코로나19 여파가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지면 CJ CGV의 올해 순손실 규모는 4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분석까지 나왔다.
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0052541321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극장과 스트리밍 동시개봉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극장과 스트리밍 동시개봉 시대 온다.
[BY 티타임즈] /사진= HBO MAX, warnerbros, Disney ,AFP, MGM Holdings, HBO
m.post.naver.com
워너브라더스의 발표는 다른 스트이밍 서비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시개봉을 결정하는 곳들이 생겨날 것이다. 이는 영화관 산업에 더 많은 비관론을 불러일으키고,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계를 재정립해야 할 수도 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가 극장이 아니라 거실에 있다는 신호탄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2020.12.3
이에 따라 영화관은 기존 서비스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이 필요합니다.
2. 본론
기발한 아이디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스 아이(Bull's Eye)>를 사용했습니다.
▼ 불스 아이(Bull's Eye) 방법론 알아보기
[전략] 불스 아이(Bull’s Eye)
불스 아이(Bull’s Eye)의 장점 유사 산업 또는 이종 산업에서 영감을 얻는 방법으로, 기발한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동종 업계에서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다양한 인사이트가 도출될
haevol.tistory.com

책 "우리는 어떤 의미를 입고 먹고 마시는가"를 보며 영화관 관련하여 어떤 유사/이종 산업들을 있는지 파악했습니다.
no
|
유사/이종 산업
|
접목 산업
|
raw 전략 내용
|
s1
|
유사 산업 (예술작품을 본다는 점에서)
|
전시 공간
|
ㅇ 영화의 여러 장면들을 세트장으로 만들어서 상영관 안에 전시
ㅇ 상영관 안에 의자는 모두 철거하여 사람들이 편하게 돌아다니며 관람
ㅇ 스크린에는 해당 영화를 플레이해 전시 분위기를 높임
ㅇ 해당 영화 관련 기념품도 상영관에서 판매
ㅇ 상영관 앞/뒤 문을 모두 열어놓고 꾸준히 환기시킴
ㅇ 최대 입장객 수 제한필요
|
s2
|
유사 산업(예술작품을 듣는다는 점에서)
|
음악
|
ㅇ 사람들이 원하는 뮤직비디오와 관람 시간을 실시간으로 수집
ㅇ 시간대 별로 가장 많이 요청받은 뮤직비디오를 스크린에 플레이
ㅇ 상영관 안을 카페처럼 만들어 뮤직비디오를 보며 식음료를 즐기고 대화를 나눔
ㅇ 상영관 앞/뒤 문을 모두 열어놓고 꾸준히 환기시킴
ㅇ 최대 입장객 수 제한필요
|
s3
|
이종 산업
|
포털 사이트
|
ㅇ 포털 사이트에서 영화 리뷰를 검색하듯이, 영화관 앱에서 어떤 영화를 요청하면 그 영화의 주요 장면을 스크린에 플레이
|
s4
|
이종 산업
|
백화점
|
ㅇ 상영관을 팝업 스토어로 탈바꿈(의자 모두 철거)
ㅇ 스크린에는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영상 플레이(의류면 패션쇼, 식품이면 CF 등)
ㅇ 상영관 앞/뒤 문을 모두 열어놓고 꾸준히 환기시킴
ㅇ 최대 입장객 수 제한필요
|
이렇게 찾은 인사이트가 실현 가능한지 그리고 더욱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해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를 진행했습니다.
▼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방법론 알아보기
[필드리서치]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서비스 사파리의 장점 오프라인 특정 장소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리서치가 필요한 장소에 직접 가서 체험해 보기 때문에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
haevol.tistory.com
o
|
관찰항목
|
관찰대상
|
관찰내용
|
think/insight
|
f1
|
영화관 건물 안
|
![]() |
커페안에서 큰 스크린으로 JYP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를 보여줌
|
카페에서 공연을 즐기는 기분
|
f2
|
영화관 건물 안
|
![]() |
카페 안에 라이브 공연장이 있어, 이곳에서 종종 라이브 공연 진행
|
카페에서 공연을 즐길 수 있음
|
f3
|
영화관 건물 안
|
![]() |
카페 안에 식물, 꽃 등이 있음
|
실내에서 식물, 꽃을 보니 기분이 상쾌함
|
f4
|
영화관 안
|
![]() |
영화관 안에 마블 캐릭터 모형이 있음
|
실제 사이즈의 캐릭터라 마치 마블 세트장에 온 것 같음
|
f5
|
영화관 안
|
![]() |
곳곳에 코로나 클린 존 스티커가 붙어 있음
|
위생적이고 깔끔한 분위기가 연출되어 방문객을 안심 시킴
|
f6
|
영화관 안
|
![]() |
영화관 로비에 예술작품을 전시함
|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예술작품도 좋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홍보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
f7
|
영화관 안
|
![]() |
영화관 곳곳에 상영중/상영예정 영화를 홍보함
|
영화관에 있어서, 상영중/상영예정 영화를 홍보하는 것은 큰 TASK인 것 같음
|
f7
|
영화관 안
|
![]() |
상동
|
상동
|
f8
|
영화관 안
|
![]() |
영화관 곳곳에 자판기로 식음료, 인형 등 판매
|
영화관은 단순히 영화만 보는 곳은 아니고 오프라인 쇼핑 플랫폼으로서 역할도 하고 있음
|
f9
|
영화관 안
|
![]() |
영화관 곳곳에 각종 상품/서비스에 대한 광고 노출
|
영화관은 오프라인 광고 플랫폼의 역할도 하고 있음
|
f10
|
영화관 안
|
![]() |
영화 등장인물/캐릭터를 상품으로 판매하거나, 다른 상품과 콜라보하여 판매함
|
영화관에서 영화 관련 상품을 판매하면 구매 욕구가 더 자극되어 구매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같음
|
f11
|
영화관 안
|
![]() |
영화관에서 보조배터리도 대여 가능
|
영화를 보는 시간 동안 제공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편의서비스를 영화관에서 제공하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 같음
|
이제 불스아이와 서비스 사파리를 결합해서 인사이트를 도출했습니다.
no
|
불스 아이
|
X 서비스 사파리
|
=> 인사이트
|
i1
|
ㅇ 영화의 여러 장면들을 세트장으로 만들어서 상영관 안에 전시(근거 s1)
ㅇ 스크린에는 해당 영화를 플레이해 전시 분위기를 높임(근거 s1)
|
ㅇ 실제 사이즈의 캐릭터라 마치 마블 세트장에 온 것 같음(근거 f4)
ㅇ 영화관에서 영화 관련 상품을 판매하면 구매 욕구가 더 자극되어 구매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같음(근거 f10)
|
ㅇ 일부 상영관은 영화 포토존으로 탈바꿈
ㅇ 영화관 앱을 통해 영화를 신청 받거나 자체 판단하여 이달의 영화를 선정
ㅇ 의자를 철거하고 이달의 영화에 대한 여러가지 세트장을 설치
ㅇ 스크린 해당 영화도 플레이하여 현장에 온 듯한 분위기 제공
ㅇ세트장 곳곳에는 이달의 영화 관련 상품 판매
|
i2
|
ㅇ 사람들이 원하는 뮤직비디오와 관람 시간을 실시간으로 수집(근거 s2)
ㅇ 시간대 별로 가장 많이 요청받은 뮤직비디오를 스크린에 플레이(근거 s2)
ㅇ 상영관 안을 카페처럼 만들어 뮤직비디오를 보며 식음료를 즐기고 대화를 나눔(근거 s2)
|
ㅇ JYP 소울컵 : 카페에서 공연을 즐기는 기분(근거 f1)
ㅇ 달콤 카페 : 카페에서 공연을 즐길 수 있음(근거 f2)
|
ㅇ 일부 상영관은 뮤직 카페로 탈바꿈(카페처럼 의자/테이블 배치)
ㅇ 영화관 앱을 통해 아티스트를 신청 받거나 자체 판단하여 오늘의 아티스트를 복수 선정하고 그들의 뮤직비디오를 스크린에 플레이
|
i3
|
ㅇ 상영관을 팝업 스토어로 탈바꿈(의자 모두 철거)(근거 s4)
ㅇ 스크린에는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영상 플레이(의류면 패션쇼, 식품이면 CF 등)(근거 s4)
|
ㅇ 영화관은 단순히 영화만 보는 곳은 아니고 오프라인 쇼핑 플랫폼으로서 역할도 하고 있음(근거 f8)
ㅇ 영화관은 오프라인 광고 플랫폼의 역할도 하고 있음(근거 f9)
|
ㅇ 일부 상영관은 팝업 스토어로 탈바꿈(의자 철거)
ㅇ 상영관 스크린에는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영상 플레이(의류면 패션쇼, 식품이면 CF 등)
|
i4
|
ㅇ 상영관 앞/뒤 문을 모두 열어놓고 꾸준히 환기시킴(근거 s1, s3, s4)
ㅇ 최대 입장객 수 제한필요(근거 s1, s2, s4)
|
ㅇ 위생적이고 깔끔한 분위기가 연출되어 방문객을 안심 시킴(근거 f5)
|
ㅇ 상영관 앞/뒤 문을 모두 열어놓고 꾸준히 환기하고 이를 영화관 및 상영관 벽에 포스터로 안내
ㅇ 최대 입장객 수를 제한하고 그 이상의 방문객들에겐 양해를 구하고 대기표 발급
|
i5
|
-
|
ㅇ 영화관에 있어서, 상영중/상영예정 영화를 홍보하는 것은 큰 TASK인 것 같음(근거 f7)
|
ㅇ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상영관 스크린에 중간 중간 현재 상영중/상영예정인 영화 홍보 영상 플레이
|
좀 더 날카로운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5Whys(The Five Whys)>를 해봤습니다.
5whys 방법론 알아보기 ▼
[모델링] The Five whys (5whys)
The Five whys의 장점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 즉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원인을 밝혀내는 좋은 방법론입니다. 복잡한 주제를 빠르게 이애하고 평범한 문제에 대해 더 깊은 질문
haevol.tistory.com
- why1) 왜 영화관에 가지 않는가? : (i6) 밀폐/밀집/밀접되어 있기 때문이다.
- why2) 영화관은 왜 밀폐/밀집/밀접되어 있는가? : 그래야 주변 빛/소음이 들어오지 않아 영화 몰입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 why3) 왜 주변 빛/소음이 들어오면 영화 몰입도가 떨어지는가? : 빛이 들어오면 영상 디테일이 안 보이고, 소음이 들어오면 영화 대사가 잘 안 들리기 때문이다.
=> (i7) 그렇다면 영상을 디테일하게 볼 필요 없고, 대사에 집중하지 않아도 되는 영상을 스크린에 플레이해보면 어떨까
3. 결론
각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전략을 도출합니다.
no
|
전략 내용
|
기대 효과
|
s5
|
ㅇ 영화관 일부 상영관을 탈바꿈 시키는데, 이 상영관에는 입장객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대기 발생 시 근처 구경할 곳이 있어야 하므로 멀티플렉스에 있는 영화관을 대상으로 함(근거 i4, i6)
ㅇ 탈바꿈한 상영관은 가게 방문하듯 지나가다 자유롭게 입장 가능
ㅇ 탈바꿈한 상영관은 앞/뒤 문을 모두 열고 주기적으로 환기(근거 i4, i6)
|
ㅇ 영화관 방문객 수 증가 : 탈바꿈된 상영관은 밀폐/밀집/밀접하지 않아 사람들이 안심하고 방문
|
s6
|
상영관을 인스타그래머블한 영화 포토존으로 탈바꿈(근거 i1, i7)
ㅇ 영화관 앱을 통해 영화를 신청 받거나 자체 판단하여 이달의 영화를 선정
ㅇ 의자를 철거하고 이달의 영화에 대한 여러가지 세트장을 설치하여 포토존 제공(인스타그래머블)
ㅇ 스크린 해당 영화도 플레이하여 현장에 온 듯한 분위기 제공
ㅇ 세트장 곳곳에는 이달의 영화 관련 상품 판매
|
ㅇ 매출 증가 : 포토존 입장 수익, 상품 판매 수익
|
s7
|
상영관을 뮤직 카페로 탈바꿈(카페처럼 의자/테이블 배치) (근거 i2, i7)
ㅇ 영화관 앱을 통해 아티스트를 신청 받거나 자체 판단하여 그날의 아티스트를 복수 선정
ㅇ 영화관 앱/오프라인을 통해 선정된 아티스트의 뮤비가 스크린에 플레이되는 타임 테이블을 홍보 (해당 아티스트 팬을 대상으로 마케팅)
|
ㅇ 매출 증가 : 식음료 수익
|
s8
|
상영관을 팝업 스토어로 탈바꿈(의자 철거) (근거 i3, i7)
ㅇ 상영관 스크린에는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영상 플레이(의류면 패션쇼, 식품이면 CF 등)
ㅇ 느낌과 분위기가 중요한 패션/잡화나 색감이 중요한 화장품 그리고 자세한 사용방법이 필요한 가전제품 등을 주요 팝업 스토어 브랜드로 선정
|
ㅇ 매출 증가 : 팝업 스토어 사용료, 제품 판매 시 수수료
|
s9
|
탈바꿈된 상영관에 중간 중간에 다른 상영관에서 상영중이거나 상영예정인 영화 홍보 영상 플레이(근거 i5)
|
ㅇ 매출 증가 : 영화 예매 수익, 광고 수익
|
s10
|
영상을 보고 영화관 앱을 통해 사람들이 영화에 대한 피드백 제공
근거 :
- 기존 영화관 로비에서 홍보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상영간 안에서 보여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집중해서 볼 가능성이 높고 이는 양질의 피드백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 또한 어떤 상영관이냐에 따라 방문객이 예측되기 때문에 타겟팅하여 홍보 영상 플레이 가능
|
ㅇ 매출 증가 : 광고 수익
|
위 전략들을 <블루오션 전략>에 대입하여 영화관 매력도가 높아질 수 있는지 검증했습니다.
필요 시 이 과정에서 새로운 전략이 도출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및 인스타그램 haevoler 팔로잉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
'기획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 숲을 보자. 나무에 너무 많은 정성을 쏟으면 숲이 빈약할 수 있다 (0) | 2023.02.25 |
---|---|
[모델링] The Five whys (5whys) (1) | 2022.02.08 |
[전략] 불스 아이(Bull’s Eye) (0) | 2022.02.04 |
[필드리서치]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0) | 2022.02.04 |
현대자동차 모빌리티서비스 전략제안(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0) | 2022.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