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방법론

[전략] 숲을 보자. 나무에 너무 많은 정성을 쏟으면 숲이 빈약할 수 있다

by haevoler 2023. 2. 25.

내가 담당하는 나무는 다른 나무들 보다 더 이쁘게 가꾸고 싶다

마법회사에서는 유튜브 같은 영상 서비스를 만들기로 했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라서 여러 기획자가 투입되었다. 그 중에 라무가 혼자 라이벌로 생각하는 거스도 참여하게 되었다. 라무는 이번 기회에 내가 거스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 라무는 이 프로젝트에서 영상이 올라가도 되는지 운영자가 심사하는 어드민 메뉴를 담당하였다. 영상의 심사대상은 크게 3가지다. 영상 장면들 중에 부적절한 것은 없는지 체크하는 '영상 심사', 그 영상의 음성을 체크하는 '음성 심사' 그리고 영상의 썸네일 디자인이 적절한지 체크하는 '디자인 심사' 이렇게 있다. 이 3가지 심사를 진행하는 운영자가 모두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3가지 심사대상별로 각자 심사할 수 있는 기능을 넣었다. 그리고 심사대상별로 조회할 수 있는 조회조건도 만들었다. 이렇게 한 운영자가 3가지 심사를 다 해도 좋고, 심사대상별로 하나씩 심사해도 좋게 어드민 메뉴를 기획했다.

내 나무만 생각하면, 숲의 전체적인 모습이 이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라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리더이자 기획실장인 '샘'은 라무가 기획한 심사 메뉴를 좋게 평가하지 않았다. 화면이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리고 기능이 너무 많아서 개발/테스트 공수가 더 들어가는 데 그 만큼 이 기능이 필요한지도 의문이라고 샘은 말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개발/QA 인원은 제한적인데 라무의 메뉴에만 이 인원을 더 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었다. 다른 파트에도 개발/QA 리소스가 적절히 분산되어 투입되어야 프로젝트가 완성된다는 것을 라무는 생각하지 못했다.

프로젝트 리더의 관점에서 전체 도메인별 주요 기능 작성하기

프로젝트 리더 관점에서 도메인별 주요기능 작성

라무는 자신이 프로젝트 리더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도메인 뿐만 아니라 다른 도메인까지 전체적으로 어떤 기능이 중요한지 작성했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디자인/개발/운영 공수를 감안하여 프로젝트가 균형있게 개발될 수 있도록, 자신의 도메인에서 꼭 필요한 기능만 기획하고 나머지는 꾹 참았다가 오픈 후 에프터잡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자신의 나무만 가꾸는 데 집중하면 다른 나무들을 돌볼 공수를 자신의 나무가 빼앗을 수도 있다. 그러면 숲이 전체적으로 안 좋게 되고 이는 숲을 찾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지게 만다. 그러니 프로젝트 리더의 관점에서 바라봐서 자신의 도메인에 어느정도 힘을 주고 어느정도 힘을 빼야 하는지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라무는 깨달았다. 이게 다 거스에 대한 라무의 라이벌 의식에 스스로 눈이 멀어서 벌어진 실수라고 라무는 생각했다. 쓸데 없는 라이벌 의식을 버리고 싶었지만 성격상 그러기 쉽지 않은 라무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