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필드리서치>
AEIOU
AEIOU(Activities, Environments, Interactions, Objects, Users) 관찰/분석 프레임워크는 현장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자세히1, 자세히2
평소 제 활동 반경 내, 상습 흡연 구역(금연 구역인데)에 대한 관찰 결과 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thinking 을 도출했습니다.
| 요소 | 관찰 결과 | thinking |
| Activities | 고통받고 있으니 제발 금연해 달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개의치 않고 흡연함 | (thk02) 금연구역 표시판을 아무리 자극적으로 만들어도 소용이 없을 듯 (thk03) 그정도로 흡연구역이 부족한 건가 싶음 (thk04) 흡연의 욕구는 정말 참기 어려운 듯 |
| Activities | 금연구역이니까 당연히 주변에 쓰레기통이 없음. 그래서 담배꽁초를 바닥에 버림 | (thk05)흡연도 부족해서 쓰레기까지 버리니 정말 너무함. 주변 사람들은 담배 냄새로 고통받는데 쓰레기 때문에 또 고통 받음 |
| Environments | 동서남북 중에 한 쪽이 벽이나 건물로 막혀있는 금연장소에서 주로 흡연을 하는 듯 | - |
| Environments | 비슷한 구조의 두 건물이 있음. A 건물의 입구 쪽에는 담배피는 사람이 많고, B 건물의 입구 쪽에는 담배피는 사람이 없음. 그 차이가 뭔지 봤더니, B 건물 입구에는 버스 정류장이 있음. 즉 사람이 한 꺼번에 많이 몰리는 지역에는 담배 피기 눈치가 더 보이는 것 같음 | (thk06) 사람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에서도 사람들은 담배를 많이 핀다. 하지만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몰리는 지역에는(버스 정류장 주변 등)에서는 흡연 행위가 억제되는 듯 |
| Interactions | 한 사람이 흡연하기 시작하면 점 점 많은 사람들이 와서 흡연함 | (thk07) 최초 흡연자가 생길 경우, 이를 묵인된 신호로 인지하여 흡연자가 점차 늘어나는 군집 현상이 나타남 |
| Objects | 피우는 담배 종류는 연초, 전담 등 다양함 | - |
| Users | 담배 피우는 사람은 남녀노소 다양함 | - |
interview
관찰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평소 흡연 구역만을 이용하는 후배를 동행했습니다. 현장에서 불법 흡연자들과 장소를 직접 살피면서, 그들의 행동 양식과 장소 선택의 이유에 대해 인터뷰 했습니다. 후배와의 대화에서, '바닥에 버려진 담배꽁초 몇 개'가 '이곳은 묵인된 흡연 구역이다'라는 시각적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이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thk08) 금연 구역 내 '바닥 청결도'를 극대화하면, 흡연자들이 '깨끗한 장소를 더럽힌다'는 심리적 저항감을 느껴 흡연 행위를 억제하는 강력한 요인이 될 것 같다

<4. 모델링>
5whys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 즉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원인을 밝혀내는 좋은 방법론입니다.
The Five whys (5whys)
주말에는 기획공부하는 날이다주말이다. 라무는 다짐한 대로 저녁 약속 전까지 기획공부를 하기로 했다. 기획 관련된 블로그와 뉴스 사이트들이 많았다. 이 중에 괜찮은 몇 개를 선별하여 그 사
www.haevol.com
영화관의 코로나 돌파전략제안(불스아이(Bull's Eye),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사용)
1. 서론코로나 시국에 영화관 피해가 매우 큰 상황입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하면서 매출은 급감하고 있는데 임차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은 계속되고 있어서다.
www.haevol.com
- why1. 왜 사람들은 금연구역에서 담배를 피는가? : 흡연구역까지 가긴 멀고,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심리적 허들이 낮기 때문
- why2. 왜 금연구역에서 담배를 피어도 될 것 같은가? : 다른 사람의 흡연 흔적(담배꽁초)과 현재 흡연 행위가 보이기 때문
- why3. 왜 그런 생각이 드는가? : 규정 위반에 대한 즉각적인 제재나 경고가 없으며, 장기간의 꽁초 방치가 이 공간이 '관리가 허술한 구역'임을 암시하기 때문
- why4. 왜 관리를 잘 안하는 지역이라고 생각하는가? : 흡연 흔적(꽁초)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제거하지 않아 금지된 행위를 묵인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
- why5. 왜 흡연 흔적(꽁초)에 대한 주기적, 신속한 제거 및 대응이 미흡한가? : 해당 구역을 전담하는 관리 인력 자체가 부족하거나, 청소 빈도/순찰 간격이 규정에 비해 비현실적이거나, 관련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음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insight 을 도출했습니다. (ins01) 관리 소홀과 사회적 증거(다른 사람의 행동 모방)라는 두 가지 핵심 원인이 있는 것 같다. (ins02) 특히, 환경적 요인(담배꽁초)이 심리적 요인(피어도 된다는 생각)을 유발하는 것 같다
'서비스 기획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moke-Stop(3/3.Develop) : 금연구역에서 담배피는 상황 멈추는 방법 (0) | 2025.10.25 |
|---|---|
| Smoke-Stop(1/3.Discover) : 금연구역에서 담배피는 상황 멈추는 방법 (0) | 2025.10.18 |
| 영화관의 코로나 돌파전략제안(불스아이(Bull's Eye), 서비스 사파리(Service Safaris) 사용) (0) | 2022.02.04 |
| 현대자동차 모빌리티서비스 전략제안(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0) | 2022.02.04 |
| 전동킥보드 주차문제 해결 전략제안 (여정지도 X HMW 방법론) (1) | 2020.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