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화면은 어떻게 기획해야 할까
동료와 커피타임을 마치고 사무실로 돌아온 라무는 같은 팀원 '제시'가 뭔가에 고민하고 있는 게 보였다. "제시님, 무슨 고민을 그렇게 하고 계세요?" 라무가 묻자 제시가 수줍게 이야기를 꺼냈다. "제가 요즘 맡은 마법을 기획하고 있는데요,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정보가 너무 많아서 이를 어떻게 기획해야 할지 고민 중이에요." 라무는 선배로서 제시에게 뭔가 도움이 되고 싶었다. "잠시만요 저도 한 번 생각해 볼게요." 그러자 제시가 "아니에요 선배님도 바쁘실 텐데 괜찮습니다." 웃으며 제시가 말하자 라무는 살짝 설레었다. 하지만 제시는 그저 귀여운 후배라고 다시 마음을 다잡고 자리로 왔다.
정보를 그룹핑하고 단계를 나누면 되지 않을까?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보던 라무는, 몇 분뒤 다시 제시에게 다가갔다. "수 많은 정보 중에 일단 공통적인 유형의 정보가 있을 것 같아요. 그 정보끼리 그룹핑을 하면 어때요? 그리고 한 페이지에 이 정보들을 다 보여주면 부담스러우니까 어느정도 까지만 입력받고 나머지는 그 다음화면에서 입력하게 해서 페이지를 3개 정도 만들면 좋을 것 같아요. 이건 그냥 제 생각이니까 참고만 해주세요." 이렇게 제시에게 이야기하고 시크한 표정으로 뒤돌아 다시 자리로 갔다. 라무는 속으로 나는 좀 멋진 선배인 것 같다는 생각에 제시가 안 보이는 각도에서 살짝 웃었다. 제시는 라무의 말을 참고하여 본격적인 기획에 들어갔다. 먼저 상품의 유형과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부분을 그룹핑했고, 이후 상품이미지, 상품설명을 입력하는 부분을 그룹핑했고 마지막으로 가격 관련 부분을 그룹핑했다. 이렇게 잘 그룹핑 했기 때문에 이 메뉴의 기획은 충분히 잘 한 것이라고 제시는 생각했다.
그래도 여전히 사용하는데 불편한데요? 하지만 그건 네 생각이고
기획이 무사히 끝나고 개발까지 어느정도 완료되어 QA(Quality Assurance) 파트에서 테스트단계에 들어갔다. 어느날 QA인 '그레이'가 제시에게 업무용 메신저로 연락이 왔다. "제시님 안녕하세요. QA파트 그레이 입니다. 기획하신 화면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 입력해야 할 정보가 너무 많아서 사용자들이 많이 불편해 할 것 같아서요, 뭔가 개선할 방법이 없을까요?" 하지만 제시는 그건 그레이 개인이라고 생각했다. "제 생각에 사용자들은 크게 불편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당 건은 넘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그건 제시의 실수였다.
자신만의 생각 관성에 사로잡혀 다른 의견을 귀담아 듣지 않는 실수
며칠 후, 기획실 정기 회의에서 제시가 기획한 마법을 테스트 서버에서 시연했다. 제시는 화면을 하나씩 시연하고 있었다. "스톱! 아니 그런데 이 많은 정보를 사용자가 하나씩 입력해야 해? 이러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잖아!" 기획실장인 '샘'이 다소 격양된 목소리로 말하자 제시는 당황하고 목소리가 떨리기 시작했다. "아.. 네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순간 제시는 얼마 전 그레이가 했던 말이 생각났다. "그때 그레이 말을 무시하지 않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볼껄..." 자신의 생각에 너무 사로잡혀 타인의 말을 흘려 들었던 자신을 제시는 반성했다. 라무도 이 부분은 짚어 주지 못해 선배로서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디폴트 값을 미리 셋팅하여 편리함을 제공하자
제시는 테스트 서버에서 직접 자신이 사용자라 생각하고 화면 하나 하나 사용해 보고 있었다. 그리고 깨달았다. 정보의 양이 정말 많고 이걸 하나씩 입력하다가는 서비스를 끝까지 사용하지 않고 중간에 이탈할 것 같다는 것을 말이다. 그래서 디폴트 값(초기에 미리 입력해둔 값)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고 이미 들어간 값을 보고 필요 시 수정하는 것으로 기획을 개선했다. 며칠 후 다음 기획실 정기회의에서 샘에게 수정된 내용으로 보고하자 샘은 만족해야 하며 특별한 지적은 하지 않으셨다. 처음부터 이렇게 기획했으면 좋았을 것을, 제시는 아쉬워하고 자신을 책망했다. 자신만의 생각 관성에 사로잡혀 다른 의견을 귀담아 듣지 않는 실수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제시는 다짐했다.
테스트서버에서 자신이 기획한 내용을 낯선 시각에서 많이 써보자
기획할 때는 잘 몰랐지만, 테스트서버에서 실제 화면으로 마법을 리허설 해보면 알게되는 불편한점들이 있다. 그러니 테스트단계에는 기획자는 메소드연기로 실제 사용자라고 생각하고 테스트 해서 개선점을 미리 파악해보자. 이렇게 제시는 한 단계 성장한 것 같다. 샘의 호통이 가끔 이렇게 도움이 될 때가 있었다. 호통친게 제시를 성장시키려는 샘의 큰 그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라무의 기획수첩 > 02 생각관성에서 벗어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관념] 일상에서의 관념을 서비스에 그대로 적용하지 말자 (0) | 2024.10.23 |
---|
댓글